X

상담 문의

상담 문의

상담문의 Re: 생리통 질문이요~

본문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한경훈입니다.


타 원인질환(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 등)이 있는 상태에서 반복되는 생리통은 이차성 월경통(속발성 월경곤란증)이라고 해서 원인질환에 대환 관리와 치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통증 관리가 좀 더 어려운 편입니다.


일차성 월경통은 자궁의 긴장과 수축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이 증가하면서 자궁의 혈액 흐름을 감소시켜서 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자궁의 긴장과 수축은 내막을 원활하게 탈락시키기 위한(즉, 생리혈을 잘 배출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그 과정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죠.


생리가 시작될 때 아랫배를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줄어드는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


특히 평소에 배가 차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자궁의 긴장과 수축이 심해지기 쉽고, 혈액의 흐름 또한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따뜻하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근육이 이완되고 혈액의 흐름이 좋아져 자연스러운 생리혈 배출을 도울 수 있지만, 그 정도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의원에서의 침치료는 기혈 순환을 도와서 통증을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자궁 및 골반 혈액 흐름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뜸치료는 하복부에 온열효과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통증유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감소를 통해 통증을 줄여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자하거약침을 비롯해 다양한 약침치료 또한 어혈을 줄이고 염증반응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좌훈을 꾸준히 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복부를 따뜻하게 하면서 혈액의 흐름을 개선해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탕약을 통한 자궁 및 골반환경 개선이 효과적입니다.


당장의 통증 감소를 목적으로 먹는 진통제와 달리, 한약은 개개인의 생리통 양상과 체질적 특성, 한의학에서 바라보는 병의 원인에 따라 처방되기 때문에 월경통이 개선되고 꾸준히 유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생리통에 처방하는 한약은 한 가지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사람은 따뜻한 성질의 처방을 위주로 구성하는가하면, 다른 사람에게는 어혈을 제거하는 약재를 위주로 구성하기도 합니다.


생리통은 보통 2~4개월 정도 복용하시는 것이 좋으며, 한의사의 진찰을 통해 한약 처방을 받으셔야 합니다.


직접 진료한 것이 아니라, 질문에 대해 글로 답변해드리다 보니 상담이 제한적인 점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OP